Culture

‘위키드’ 한국 누적 100만 관객 돌파

정혜진 기자
2025-09-08 09:15:11
기사 이미지
‘위키드’ 한국 누적 100만 관객 돌파 (제공: 에스앤코)

초록마녀가 한국을 사로잡았다! 브로드웨이의 거대한 블록버스터 뮤지컬 ‘위키드’가 실관람객 100만을 달성했다.

서울 블루스퀘어에서 13년 만의 내한으로 공연 중인 ‘위키드’는 9월 6일(토) 오후 2시 공연으로 누적 840회, 누적 관객 100만 1천 명을 넘어서며 100만 관객 돌파라는 의미 있는 순간을 맞았다. 2012년 내한 프로덕션으로 블루스퀘어에서 초연한 이후 단 5시즌 (2012 내한 공연, 2013~2014 한국어 공연, 2016 한국어 공연, 2021 한국어 공연, 2025 내한 공연) 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위키드’는 한국 초연부터 국내 뮤지컬 시장의 흥행 기준점을 새롭게 써내려 왔다. 2012년 5월 내한 프로덕션 초연 당시 첫 티켓 오픈에서만 2만 3천 장이 사전 판매되어 유료 점유율, 최단기간 최다 관객 수, 최고 매출 등 기존 기록을 모두 갈아치웠고 2013~2014년 한국어 초연은 약 11개월간 무려 33만 관객을 동원해 반향을 일으켰다. 서울 외 지역 첫 한국어 공연인 2016년 대구와 2021년 부산에서도 당시 지역 사전 판매 신기록을 세웠으며, 2021년에는 팬데믹 상황에도 서울, 부산이 전석 매진되는 기염을 토했다. 거대한 무대 메커니즘으로 전국 투어 자체가 어려워 서울, 대구, 부산 단 3개 도시에서 이뤄낸 성과이기에 더더욱 작품의 저력을 입증하는 압도적 성과다.

이처럼 ‘위키드’는 화려한 무대와 음악을 넘어 언어와 세대를 초월한 히트 콘텐츠로서 범대중적인 영향력을 선보여왔다. ‘8 to 80 법칙’, 8세부터 80세까지 성별과 연령대에 상관없는 작품의 보편적인 힘으로 새로운 뮤지컬 인구의 성장과 저변 확대해왔다. 평소 공연을 접하기 어려운 유소년의 첫 뮤지컬 경험, 시니어 관객의 문화생활 확대, 대구, 부산의 장기 흥행을 이끌며 지역 관객의 신규 유입을 견인한 결과 ‘위키드 관람=뮤지컬 입문’이라는 공식이 생겨나기도 했다. 작품과 각 캐릭터에 높은 애정과 충성도를 지닌 팬덤 ‘오지안’이 초연 당시부터 형성됐고 작품의 시그니처 컬러를 활용해 드레스 코드 ‘그린룩’을 입고 공연을 관람하며 즐기는 새로운 관람 문화, 환경 보호, 동물 보호 등 작품의 메시지와 연계한 지속적인 사회 공헌 활동인 그린 캠페인 마케팅 등 각 분야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키기도 했다. 흥행작을 넘어 한국 뮤지컬 산업의 흥행 공식과 패러다임을 바꾼 작품으로 꼽힌다.

누적 관객 100만 돌파를 기념해 10일간 배우들이 행운의 오지안을 직접 추첨해 기쁨을 함께하는 중이다. 9월 2일부터 12일까지 총 13회 공연의 관객을 대상으로 매일 오전 11시 공식 인스타그램 게시글을 통해 특별한 선물이 공개된다. 이후 공연 시작 2시간 전 인스타그램 스토리로 오지안을 추첨한 배우의 사진과 당첨 좌석 위치를 사전 고지 및 공연 시작 전 객석 내 자막기를 통해 좌석 번호를 공개하는 이벤트다. 매 공연 마다 1명이 당첨되며 사인 프로그램북, 사인 OST, 식사권 등 다양한 선물이 증정된다.

뮤지컬 ‘위키드’는 2024 년 브로드웨이 최초 주간 박스오피스 500 만 달러 돌파, 2025 년 1 월 웨스트 엔드 주간 박스오피스 기록을 갈아치우며 브로드웨이 초연 2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식지 않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전 세계 16 개국 7000 만 명 이상의 관객이 관람했으며 토니상, 드라마 데스크상, 그래미상 등 세계적 시상식에서 100 여 개의 트로피를 석권했다. ‘Popular’, ‘Defying Gravity’, ‘As long As You’re Mine’, ‘For Good’ 등의 쿼드러플 플래티넘을 공인 받은 스티븐 슈왈츠의 수려한 명곡과 350여벌의 아름다운 의상, 12.4M의 타임 드래곤, 엘파바의 플라잉 등 오리지널 스케일 그대로의 황홀한 무대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고전을 유쾌하게 뒤집은 기발한 상상력과 인생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스토리로 감동을 선사하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은 현재 서울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에서 공연중이다. 첫 내한 공연이 될 부산 공연은 11월 13일 개막하며 오는 9월 12일 1차 티켓 오픈을 예정하고 있으며 대구 공연은 2026년 계명아트센터에서 개막한다.

정혜진 기자
bnt뉴스 연예팀 기사제보 star@bntnews.co.kr